맨위로가기

혼다 다다카즈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혼다 다다카즈는 이즈미번의 2대 번주로, 간세이 개혁에 참여하여 막부의 요직을 역임했다. 그는 학문을 장려하고, 경세론을 배우는 등 번정을 위해 노력했으며, 에조치 개척을 주장하며 국방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1790년 로주카쿠에 임명되었으며, 도쿠가와 하루사다의 지지를 받아 마츠다이라 사다노부의 로주 해임을 실현하고, 1799년 은거 후 1812년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즈미 혼다가 - 혼다 다다유키
    혼다 다다유키는 에도 시대 이즈미번의 번주로, 니혼자에몬 단속 소홀의 책임을 물어 이봉되었으며, 은거 후 "츠보야마집"이라는 저서를 남겼다.
  • 이즈미 혼다가 - 혼다 다다모치
    혼다 다다모치는 에도 시대 초기의 무장으로, 혼다 다다카쓰의 손자이자 혼다 다다요시의 차남이며, 1662년 영지를 분할받아 아사카와 번의 초대 번주가 되었으나 젊은 나이로 사망하여 동생이 가문을 계승하였다.
  • 이즈미번주 - 혼다 다다유키
    혼다 다다유키는 에도 시대 이즈미번의 번주로, 니혼자에몬 단속 소홀의 책임을 물어 이봉되었으며, 은거 후 "츠보야마집"이라는 저서를 남겼다.
  • 이즈미번주 - 나이토 마사치카
    나이토 마사치카는 이즈미번 초대 번주 나이토 마사하루의 장남으로, 어린 나이에 가독을 상속받아 번정의 기초를 다지고 학문에 정진하여 도쿠가와 쓰나요시의 총애를 받았으며, 소자반과 와카도시요리를 역임했다.
  • 1740년 출생 - 김귀주
    김귀주는 조선 영조와 정조 시대의 문신이자 정순왕후의 오빠로, 홍봉한과 대립하다 정조 즉위 후 숙청되었으며, 사후 정순왕후 수렴청정 기간에 복권되었다가 다시 삭탈관작되었다.
  • 1740년 출생 - 베네딕트 아널드
    베네딕트 아널드는 미국 독립 전쟁에서 대륙군 장군으로 활약했으나 영국으로 투항하여 배신자로 역사에 기록되었으며, 타이콘데로가 요새 점령 등에서 활약했으나 웨스트포인트를 넘기려다 발각되어 영국군에 합류, 준장으로 임명되었고 배신 행위로 부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혼다 다다카즈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씨명혼다 씨 (헤이하치로 가)
이름혼다 다다카즈
원어 이름本多忠籌
가명오노노신 (유명), 다다카즈
별칭오쿠라 (통칭), 스이오 (호)
계명겐고인덴 주가쿠 교라이다이코지
묘소도쿄도스미다구무코지마의 고후쿠사
후쿠시마현이와키시 이즈미마치 오야마의 이즈미 신사
생몰 정보
출생겐분 4년 음력 12월 8일 (1740년1월 6일)
사망분카 9년 음력 12월 15일 (1813년1월 17일)
가족 관계
아버지혼다 다다유키
어머니마쓰라 아쓰노부의 딸, 기치코
형제자매다다카즈, 다다쓰라, 구마고로, 야마구치 히로쿠라 정실, 간노 마사노리 실
배우자정실: 마쓰라 사네노부의 딸
측실: 고토 씨
자녀다다시게, 다다오, 다다카타, 마쓰라 다다시, 다다요리, 아라키 다다즈미, 오타와라 기요아키 실 로지코 요시코
관직 및 직책
관위종5위하탄정쇼히쓰, 종4위하 탄정다이히쓰, 시종
막부에도 막부 와카도시요리, 소바요닌, 노중 격
주군도쿠가와 이에시게→이에하루→이에나리
무쓰이즈미번 번주
기타
전임 번주혼다 다다유키
후임 번주혼다 다다시게
번주 재임 기간1754년 ~ 1799년
전임 소바요닌마쓰다이라 노부아키라
후임 소바요닌도다 우지노리
소바요닌 임기1788년 ~ 1790년

2. 생애

에도 시대 중기의 다이묘이자 막부 관료이다. 이즈미번 번주로서 번정을 이끌었으며, 덴메이 연간부터 간세이 연간에 걸쳐 와카도시요리, 소요닌, 로주카쿠 등 막부의 요직을 역임하며 마츠다이라 사다노부 등과 함께 간세이 개혁을 추진하였다. 학문, 특히 경세론과 세키몬 심학에 조예가 깊어 이를 번 통치와 백성 교화에 활용하고자 하였으며, 러시아의 남하에 대비한 에조치 개척을 주장하는 등 국방 문제에도 관심을 가졌다. 간세이 5년(1793년)에는 마츠다이라 사다노부의 로주 해임에 관여하였고, 이후 로주직에서 물러나 은거하다 분카 9년(1812년)에 사망하였다.

2. 1. 출생과 가독 상속

겐분 4년(1739년) 12월 8일, 이즈미번 초대 번주 혼다 타다유키의 장남으로 에도 시타야의 번저에서 태어났다. 호레키 4년(1754년) 8월 29일, 아버지의 은거로 가독을 상속했다. 같은 해 12월 종5위하 탄정소필에 서위 임관되었다.

2. 2. 와카도시요리, 소샤반 임명

덴메이 7년(1787년), 와카도시요리에 임명되었다. 이듬해인 덴메이 8년(1788년) 2월 2일에는 소요닌에 임명되었고, 같은 해 5월 1일에는 종4위하 탄정대필로 승서했다. 이후 마츠다이라 사다노부, 마츠다이라 노부아키라와 함께 간세이 개혁을 추진하였다. 간세이 2년(1790년) 4월 16일에는 로주카쿠에 임명되어 시종에 임관했으며, 동시에 5000석을 추가로 받아 성주격 다이묘가 되었다.

2. 3. 간세이 개혁 참여와 로주카쿠 임명

덴메이 7년(1787년), 와카도시요리에 임명되었다. 덴메이 8년(1788년) 2월 2일에는 소요닌에 임명되었고, 같은 해 5월 1일에는 종4위하 탄정대필로 승서했다. 이후 마츠다이라 사다노부, 마츠다이라 노부아키라와 함께 간세이 개혁을 추진하는 중심 인물 중 한 명이 되었다.

간세이 2년(1790년) 4월 16일에는 로주카쿠에 임명되어 시종에 임관했으며, 동시에 5000석의 영지를 추가로 받아 성주격의 지위를 얻었다.

학문을 중시했던 다이묘로서, 사토 겐묘카(사토 노부히로의 아버지)에게 경세제민의 학을 배우고 이를 번 통치에 적용하려 노력했다. 또한 나카자와 도지로부터 세키몬 심학을 배우고, '젠쿄샤'(善敎舎)라는 교육 기관을 열어 백성들의 도덕적 교화와 인재 육성에 힘썼다. 이러한 학문적 배경, 특히 심학을 통해 마츠다이라 사다노부와도 깊은 관계를 맺게 되었다. 번정에서는 기근에 대비하기 위한 비축 창고인 향창(郷倉)을 설치하고, 인구 유지를 위해 낙태를 금지하는 정책을 시행했다.

간세이 개혁 시기 막부 정치에 참여하면서 국방 문제의 중요성을 일찍부터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탐험가 모가미 도쿠나이의 저서 "에조 소시"에 영향을 받아, 북방의 에조치(현 홋카이도)를 막부 직할령으로 삼고 적극적으로 개척하여 남하하는 러시아 세력에 대응해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했다. 그러나 이 주장은 에조치를 기존대로 마츠마에 번이 관리해야 한다는 마츠다이라 사다노부의 반대에 부딪혀 그의 재임 중에는 실현되지 못했다. 혼다 다다카즈가 로주에서 물러난 후인 분카 8년(1811년)에 이르러서야 에조치의 막부 직할령화가 이루어졌다.

간세이 5년(1793년) 7월, 도쿠가와 하루사다의 지지를 바탕으로 점차 독단적인 모습을 보이던 마츠다이라 사다노부를 로주에서 해임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다. 사다노부 해임 이후에는 로주 내 권력 집중을 막기 위해 재정 담당 로주(勝手掛 로주)의 업무를 월별 순번제(月番制, 겟반제)로 운영하는 제도를 도입했다.

간세이 10년(1798년) 10월 10일, 로주직에서 물러났다.

2. 4. 경세론과 번정

학문을 좋아했던 다이묘로, 사토 겐묘카(사토 노부히로의 아버지)에게 경세제민의 학을 배우고 이를 번 통치에 활용하고자 했다. 또한 나카자와 도지에게 세키몬 심학을 배우고, 젠쿄샤(善教舎)를 열어 백성들의 마음을 교화하고 교육하는 데 힘썼다. 세키몬 심학을 통해 마츠다이라 사다노부와도 교류하게 되었다. 번 통치에서는 기근에 대비하기 위한 비축 창고인 향창(郷倉)을 설치하고, 낙태를 금지하는 정책을 시행했다.

간세이 개혁 시기에는 막부 정치에 참여하여, 일찍부터 국방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다. 특히 모가미 도쿠나이의 저서 "에조 소시"(蝦夷草紙)에 영향을 받아, 당시 마츠마에 번이 관리하던 에조치(蝦夷地, 현재의 홋카이도)를 막부 직할령으로 삼고 적극적으로 개척하여 러시아의 남하 정책에 대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 주장은 에조치를 기존대로 마츠마에 번에 맡겨야 한다는 마츠다이라 사다노부의 반대로 인해 다다카즈가 로주로 재임하는 동안에는 실현되지 못했다. 하지만 그가 로주에서 물러난 후인 분카 8년(1811년)에 결국 에조치는 막부 직할령이 되었다.

2. 5. 에조치 개척 주장

간세이 개혁 시기 막부 정치에 참여하면서 국방의 중요성을 일찍부터 인식하였다. 특히 모가미 도쿠나이가 저술한 "에조 소시"의 영향을 받아, 당시 북방의 에조치(현재의 홋카이도 및 주변 지역)를 막부의 직접 통치 지역으로 삼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에조치를 적극적으로 개척하여 남하하는 러시아 세력에 대비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이러한 주장은 당시 개혁을 주도하던 마츠다이라 사다노부에 의해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사다노부는 에조치를 기존대로 마츠마에 번이 관리해야 한다는 입장이었기 때문에, 혼다 다다카즈가 관직에 있을 때는 그의 구상이 실현되지 못했다. 하지만 그가 관직에서 물러난 이후인 분카 8년(1811년), 에조치는 결국 막부의 직할령(천령)으로 편입되었다.

2. 6. 로주 해임과 겟반제 도입

간세이 5년(1793년) 7월, 도쿠가와 하루사다의 지지를 얻어 독재적인 모습을 보이던 마츠다이라 사다노부를 로주에서 해임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후 로주 캇테가카리의 겟반제를 도입했다.

2. 7. 은거와 사망

간세이 10년(1798년) 10월 10일, 로주직에서 물러났다. 이듬해인 간세이 11년(1799년) 10월 23일에는 가독을 서장자인 타다나리에게 물려주고 은거하였다. 본래 적자인 차남 타다오가 있었으나, 타다오가 21세 때 폐적되었기 때문에 서자인 타다나리에게 가독을 상속하게 된 것이다. 이후 분카 9년(1812년) 12월 15일에 74세의 나이로 병사하였다.

3. 저서

저서로는 기행문인 「안개의 바다」, 「돌아온 삿갓」, 「고즈노 지접」, 「여행 일기」 등 다수가 있다.

4. 가계


  • '''부모'''
  • * 아버지: 혼다 타다카즈
  • * 어머니: 키치코 - 마츠우라 아츠노부의 딸
  • '''정실'''
  • * 토미코 - 마츠우라 노부나오의 딸
  • '''측실'''
  • * 리세 - 고토씨
  • * 마츠우라 이에몬의 딸
  • '''자녀'''
  • * 장남: 혼다 타다자네 (생모는 리세)
  • * 차남: 혼다 타다오 (생모는 토미코)
  • * 삼남: 혼다 타다카타 (생모는 리세)
  • * 사남: 마츠우라 타다시
  • * 오남: 혼다 타다요리 (생모는 마츠우라씨)
  • * 육남: 아라키 타다즈미
  • * 딸: 기시 - 오오타와라 키요아키의 부인

5. 참고 문헌


  • 구로다 겐로쿠 저, 『혼다 타다카즈 공 전』(혼다 타다카즈 공 유덕 현창회, 1942년)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